* 여로와 쇠별꽃 *
(여로)
문복산 허리쯤 응달 진 자리에 암갈색의 여로
한 때 TV에 상종가를 친 드라마 이름과 같다
천형의 벌을 받아 밝은 곳에 피어나지 못하고
숨은 듯 자리한 모습에 나그네 발길이 무겁다
석류 먹는 밤 -문정희
오도독! 네 심장에 이빨을 박는다
이빨 사이로 흐르는 붉고 향기로운 피
나는 거울을 보고 싶다
사랑하는 이의 심장을 먹는 여자가 보고 싶다
먹어도 먹어도 허기가 져서
마녀처럼 두개골을 다 파먹는 여자
오, 내 사랑
알알이 언어를 파먹는다
한밤에 일어나 너를 먹는다
여로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서식장소 풀밭
크기 높이 40∼60cm 풀밭에서 흔히 자란다. 잎집이 서로 감싸서 원줄기처럼 되어 높이 40∼60cm로 되고,
밑부분의 겉은 흑갈색 섬유로 싸여서 종려나무의 밑동같이 보인다. 잎은 줄기 하반부에서 어긋나기 하며
잎모양은 좁은 바소꼴이고, 나비 3∼5cm이며 뒤로 젖혀진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줏빛이 도는 갈색이며,
원추꽃차례에 달리고 수꽃과 양성화가 있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殼果)이며 타원형으로 3줄이 있고 끝에 암술머리가 남아 있다. 유독식물이다.
뿌리줄기를 살충제로 사용하며 민간약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늑막염에 걸렸을 때 달여 먹으면
최토작용을 일으켜 모든 농즙을 토해내고 치유되므로 늑막풀이라고도 부른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 쇠별꽃)
# 별꽃과 쇠별꽃, 벼룩나물,개별꽃 구별 방법
포인트 1: 쇠별꽃은 암술이 5갈래, 별꽃은3갈래...
포인트 2: 벼룩나물은 꽃잎이 끝에까지 갈라짐. 그리고 수술 색깔이 노랗고...
포인트 3: 개별꽃은 적갈색 수술이 꽃잎에 거의 붙어 마치 꽃잎에 점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 참고 : http://blog.naver.com/ab5908/110008576035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무명의 라이브카페
통키타 가수이며 인터넷 방송을 통해
알려지게 되었다는 최지연 ...
느낌이 깊은 새로운 뮤지션이다
그리움만 쌓이네 外 - 최지연
'건축이야기 > 야생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골무꽃 (0) | 2010.10.01 |
---|---|
[스크랩] 흰이질풀꽃도 있다 (0) | 2010.09.27 |
[스크랩] 바위담쟁이 (0) | 2010.09.19 |
[스크랩] 다람쥐와 참꿩다리 (0) | 2010.09.19 |
[스크랩] 사위질방 (0) | 2010.09.19 |